서울시, 새로운 광화문광장…국제설계공모 당선작 공개

광화문광장이 오는 2021년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한다.

세종문화회관 앞차로가 광장으로 편입돼 광장 규모가 3.7배로 확장되고, 해치 광장 등 세 곳으로 단절돼 있던 지하 공간은 하나로 통합된다. 지상과 지하 광장은 선큰 공간으로 연결, 서울 도심 역사문화 경관의 핵심인 경복궁~북악산의 한국적 경관을 재구성한다.

서울시
서울시
서울시
서울시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새로운 광화문광장의 미래 청사진인 국제설계공모 최종 당선작을 21일(월) 발표하고 2021년 새로운 광화문을 향한 첫걸음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당선작은 70:1의 경쟁률을 뚫은 <Deep Surface(과거와 미래를 깨우다)>(CA조경, 김영민(서울시립대 조경학과), ㈜유신, ㈜선인터라인 건축)다.

공모는 17개 국가에서 총 70개 팀(국내 38개, 해외 32개), 202명의 건축·조경 전문가가 참여해 ‘광화문 광장’이라는 상징성만큼이나 뜨거운 관심 속에 진행됐다.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 도미니크 페로(Dominique Perrault, 프랑스), 아드리안 구즈(Adriaan Geuze, 네덜란드) 등 국내·외 전문가 7인의 심사위원회가 두 차례 심사 끝에 최종 당선작을 선정했다.

서울시

당선작은 시가 제시한 기본 방향을 반영해 크게 세 가지 목표를 구현하고자 했다. 주작대로(육조거리) 복원을 통한 국가 상징 축(북악산~광화문광장~숭례문~용산~한강) 완성, 지상·지하광장의 입체적 연결을 통해 시민이 주인인 다층적 기억의 공간 형성, 자연과 도시를 아우르는 한국적 경관의 재구성(북악산~경복궁~광화문)이다.

당선팀에게는 기본 및 실시 설계권이 주어진다. 서울시는 당선자와 설계범위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협의한 뒤 2월 중 설계계약을 체결, 연내 설계를 마무리하고 내년 초 공사에 들어가 2021년 5월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서울시는 25일(금) 서울시청 8층 다목적실에서 시상식을 개최하고, 시청 로비, 광화문 해치마당 등 주요 공간에서 당선작을 비롯한 수상작 전체를 전시해 시민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이어 서울시는 설계를 구체화해 나가는 과정에서 주민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지역주민이 우려하는 사항을 직접 듣고, 주민 관점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한편, 사업의 취지와 효과도 함께 공유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본 사업에는 서울시와 정부 예산 총 104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서울시가 669억 원, 문화재청이 371억 원을 분담하게 된다.

한편, 이 같은 서울시의 광화문광장 재조성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경제도 어려운데, 혈세 낭비…”

이 계획이 발표된 이후 언론 보도에 부정적 댓글이 쏟아지고 있다. 가장 자주 언급되고 있는 표현은 ‘혈세 낭비’다.

네티즌들은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 의도를 알 수 없는 광장 확장에 1000억 원이 넘는 돈을 쏟아붓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반응과 “서울시민이 바랐던 일이라면 모르겠지만, 누구도 원하지 않은 일에 왜 세금을 낭비하느냐”는 것이다.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광화문 일대에 벌어질 교통 체증과 각종 불편, 공사 이후 차선이 사라짐에 따라 발생할 교통 대란을 고려하면 시민이 치러야 할 사회적 비용은 짐작조차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세종대왕상, 이순신 장군상 옮기면서까지…”

또 다른 불만은 광화문의 상징적 조형물인 세종대왕상과 이순신 장군상의 이동이다. 다수 네티즌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우리 역사에서 가장 추앙받는 두 영웅이 ‘중앙에서 바깥으로’ 밀려난다는 것. “광장을 위해 우리 역사를 지우려는 것 같아 느낌이 이상하다”는 언급도 보인다.

안 그래도 시위 많은데…”

일부 네티즌은 국정농단 사태 이후 진보 세력이 집권하자 각종 집회·시위가 증가, 광화문 일대에서 주말을 즐기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며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광장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 못 하는 건 아니지만 해도 너무 한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경찰 집계 결과 지난해 전국에서 벌어진 집회·시위 건수는 총 6만8315건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매일 187건의 집회가 열린 셈이며, 2017년(4만3161건) 대비 58%(2만5154건)가량 증가한 규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