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특수본, 이태원 출동한 의료지원팀까지 ‘고강도 수사’

By 이서현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당시 파견된 재난의료지원팀(DMAT)까지 수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당시 출동한 총 15개 DMAT 중 일부가 특수본의 수사망에 올라 조사를 받았다.

가장 먼저 현장으로 출동한 서울대병원 DMAT은 수사 요청을 거부했고, 한양대병원강동경희대병원 DMAT은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TV

조사를 받은 의료진 A씨는 “최선을 다하고 돌아왔는데 왜 조사를 받아야 하는지 납득이 되지 않아 당황했다”라고 호소했다.

경찰은 “소방이 참사 현장과 가장 가까웠던 순천향대서울병원에 70여 명을 보낸 것이 잘한 일이냐” “소방이 재난 환자를 분류할 수 있냐, 살았는데 죽었다고 판단하지 않았느냐” 등의 질문을 했다고 한다.

A씨는 이 과정에서 누군가에게 책임을 덮어씌우려는 듯한 인상을 강하게 받았다고 토로했다.

조사 이후에는 경찰이 지속해서 연락하며 업무를 방해했고, 그는 압박 수사로 인해 악몽을 꾸는 등 극심한 스트레스와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고 했다.

A씨는 “나도 잘못하면 처벌받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며 사직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기도 했다.

연합뉴스

앞서 국회에서는 소방과 보건소의 불통으로 인해 DMAT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실제로 당시 심정지 환자가 가까운 순천향대서울병원으로 몰리면서 중환자들은 더 먼 병원으로 이송되는 불상사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수본도 당시 재난응급 매뉴얼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응급환자의 응급환자의 이송 및 치료 등에 지연이 발생한 점을 문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재난의료지원팀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대학병원 DMAT에게도 지연 출동을 이유로 칼끝을 들이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당시 재난 상황을 인지하고 사상자를 파악하는 데 다소 시간이 소요됐고,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으로 DMAT의 출동도 늦어질 수밖에 없었다.

의료계에서는 “법적 보호 테두리가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어떤 의료진이 재난 상황에서 출동하겠냐”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또 DMAT가 국정조사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돌면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최성범 용산소방서장 | 연합뉴스

한편, 특수본은 이번주 안에 용산 지역 경찰·소방서장과 구청장 등 주요 피의자들에 대한 추가 조사를 마무리한 뒤 구속영장을 신청할 계획이다.

구속영장 신청 대상으로 거론되는 이는 박희영 용산구청장과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 최성범 용산소방서장, 류미진 전 서울경찰청 인사교육과장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