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머니가 1원에 판 참기름병… 알고보니 기와집 15채 값의 국보였다

By 연유선

1920년대 경기도 팔당 인근에 살던 한 할머니가 나물을 캐다가 흰색 병을 발견했다.

할머니는 직접 짠 참기름을 병에 담아 상인에게 1원을 받고 팔았다.

이 병을 주목한 건 당시 경성(지금의 서울)에 살던 일본인 골동품상이었다. 부인이 산 병이 조선백자임을 알아본 그는 다른 골동품상에게 이를 60원에 되팔았다.

참기름 병은 이후 여러 수집가의 손을 거쳐 1936년 열린 경매에서 당시 돈으로 1만4천580원에 낙찰됐다.

이는 기와집 15채에 해당하는 금액이자 조선백자로서는 역대 최고가이다. 훗날 정해진 명칭은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97년 지정된 우리나라 국보다.

놀랍게도 이 ‘참기름병’을 낙찰한 사람은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미술관인 보화각(오늘날 간송미술관)을 세운 간송 전형필(1906~1962)이었다.

우리나라 최고의 부잣집에서 태어난 전형필은 부를 헛되이 사용하지 않고 평생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사용했다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으로 유출되는 서화, 도자기, 불상, 석조물, 서적 등을 수집해서 이 땅에 남긴 인물이다.

전형필은 한국 전쟁 중 피난길에서도 훈민정음 해례본을 품 안에 넣고 지켰으며 추사 김정희의 예서, 겸재 정선의 산수화,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화 등을 지켰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을 비롯해 국보·보물로 지정된 문화유산 13건을 조사한 내용 등을 정리한 ‘유물과 마주하다 – 내가 만난 국보·보물’을 발간했다고 13일 밝혔다.

책자는 미술문화재연구실 연구자들이 조사한 내용을 흥미롭게 풀어냈다.

6·25 전쟁 당시 목숨을 건 피난길에서 조상의 초상화를 챙기느라 고군분투한 후손의 노력, 딸이나 아들 혹은 처가나 외가를 구분하지 않은 재산 상속 이야기 등을 엿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