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으로 20대, 30대 청년들의 고독사가 크게 늘고 있다.
고독사 현장에서 사치라고는 찾아볼 수 없었다. 취업 준비를 위한 책과 전자기기, 간단히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인스턴트식품이 전부였다.
그렇게 외롭게 숨을 거두는 청년들의 마지막을 정리하고 배웅해주는 특수청소업체 대표가 솔직한 심정을 털어놨다.

지난 18일 유튜브 계정 ‘스브스뉴스 SUBUSU NEWS’에는 특수청소업체 길해용 대표의 인터뷰 영상이 공개됐다.
길 씨는 “20~30대 청년들의 고독사나 극단적인 선택이 많이 늘어났다. (그 원인은) 취업난으로 인한 우울증이 가장 큰 것 같다”고 고백했다.
또 “취준생 고독사 현장은 공통점이 있다. 사치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라며 “공부를 위한 책이나 필기도구, 전자기기 등만 발견된다”고 말했다.

가장 기억에 남는 현장으로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20세 청년의 사연을 꼽았다. 보육원에서 지내다가, 성인이 되자마자 퇴소를 하고 사회에 나왔던 20세 청년. 그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고 말았다.
“이렇게 외로웠겠구나… 이렇게 치열했겠구나…”
또 “가끔 현장에서 유서를 발견하는데, ‘이 집 청소하시는 분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는 쪽지가 남겨져 있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다”고 고백했다.

길 씨는 “이 일을 하기 전에 환경부,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에 물어본 적이 있다. 고독사 같은 경우에는 시신이 부패하면서 오염물이 흘러나오게 되는데, 그래서 일반 쓰레기로 처리해야 한다고 답변을 받았다”고 밝혔다.
일반 쓰레기로 분류되는 청년의 마지막. 길 씨는 “관련 법이 없어서 허가를 내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그냥 무분별하게 버려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길 씨는 특수청소부로서 바라는 점이 있다고 털어놨다.
그는 “2021년 4월 1일부터 ‘고독사 예방법’이 시행되는데, 이걸 노인 세대에만 적용하는 게 아니라 20~30대 청년들에게도 필요한 것 같다. 그러면 고독사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