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4세 56%가 ‘미혼’… 30년 뒤 청년인구 ‘반토막’

By 연유선

한국의 청년(만19~34세)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약 30년 뒤인 2050년에는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2020년 기준 청년세대의 미혼 비중은 81.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대만 포함하더라도 미혼 비중은 56.3%에 달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로 분석한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세대 인구는 한국 총인구(5013만3000명)의 20.4%인 1021만3000명이다.

연합뉴스

통계청은 총인구 중에서 청년세대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에 31.9%(1384만9000명)로 정점을 찍었으며 이후 감소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2050년 청년인구 비중은 11.0%(521만3000명)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0년 청년세대의 미혼 비중은 81.5%로 2000년 이후 지속적 증가 추세다. 청년세대 중 30~34세 청년세대의 미혼 비중은 56.3%로 2000년 18.7%에 비해 약 3배 증가했다.

결혼하지 않는 청년이 늘어나면서 청년세대 가운데 부부가구 비중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00년에는 청년세대 37.1%가 부부가구였다. 이 비중은 꾸준히 줄어 2020년(15.5%)에는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연합뉴스

이들은 결혼하지 않는 대신 ‘나 홀로 가구’로 독립하거나 ‘캥거루족’이 돼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2020년 청년 5명 중 1명(20.1%)이 1인 가구인 것으로 집계됐다. 20년 전에는 불과 6.6%만이 1인 가구였는데 그 비중이 급격히 늘며 처음 20%를 넘겼다.

연합뉴스

자연스레 혼인 건수도 2011년 32만9000건에서 지난해 19만2000건으로 41% 급감했다.

결혼하지 않은 동거 부부 사이에서도 아이를 출산하는 유럽 등과 달리 우리나라 출생아의 96%는 법적으로 혼인한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다. 청년들이 결혼을 하지 않으면 곧바로 출생아 수 감소로 이어진다. 결혼 후에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청년도 2018년 46.4%에서 지난해 53.5%로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