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년 만에 멈춘 포항제철소…복구 중인 포스코에 ‘책임’ 묻겠다는 정부

By 이서현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제11호 태풍 ‘힌남노’ 피해로 49년 만에 가동을 멈췄다.

정부는 생산 차질을 빚는 포스코의 태풍 사전 대비와 사후 대책에 문제가 없었는지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

철강 수해복구 및 수급점검 TF 관련 브리핑하는 장영진 1차관 | 연합뉴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지난 14일 “포항 철강 산업의 피해는 전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며 “태풍 힌남노가 충분히 예보된 상황에서도 이런 큰 피해가 발생한 점을 중점적으로 따져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진흙과 뻘을 제거 중인 작업자들 | 포스코

산업부는 조사 배경에 대해 “철강재는 ‘산업의 쌀’로 불릴 만큼 모든 산업에 중요한 자재”라며 “철강 수급 조사단을 통해 철강재 생산 정상화 시기 등을 정확히 예측하고 우리 산업의 공급망 안정을 선제 확보하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주 민관합동 ‘철강 수급 조사단’을 구성해 포항 철강산업의 정확한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현장 복구 지원과 철강 공급 영향에 대해 진단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포스코

정부 발표 자료를 살펴보면 이번 태풍 피해가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인재(人災)라는 점이 부각됐다.

산업부는 미리 위험성을 알렸는데도 피해를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고, 특히 포스코가 피해 규모를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이번 조사가 침수 피해 책임을 포스코에 떠넘기려는 의도가 아니겠냐는 해석도 제기되고 있다.

정부가 이례적으로 ‘조사 카드’를 꺼내 들면서 결과에 따라 경영진의 문책론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포스코

포스코는 “잘잘못을 가리기보다 빨리 복구해서 산업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도 피해는 불가항력으로 일어난 일이며 피해 상황을 축소 보고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또 이번 침수 사태와 관련해 회사 쪽 책임론이 불거지자 포항시가 하천정비를 하지 않아 대규모 침수가 벌어졌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15일 포스코가 보도자료에 첨부한 사진 자료 | 포스코
포스코가 “냉천 공원화 사업으로 물길이 좁아졌다”고 설명하며 첨부한 냉천 사진 | 포스코

포스코는 15일 보도자료를 내고 태풍 힌남노에 대비해 조업을 중단하고 태풍종합상황실을 운영했으며, 배수로 정비와 물막이 작업 등을 했음에도 포항제철소 전체가 순식간에 물에 잠긴 상황을 상세히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포항제철소 침수의 원인은 인근 냉천의 범람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향후 태풍, 폭우 등에 대비한 냉천 재정비를 위해 포항시와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했다.

한편, 포스코는 “일부 제강공정 가동으로 철강반제품이 정상적으로 생산되고 있다”라며 “15일 0시 기준 배수 작업은 94%, 전원 투입은 37% 진행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