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북한이 ICBM급 ‘화성 14형’ 2차 시험 발사에 성공한 이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맞대응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사드 발사대 임시 배치를 결정한 것입니다.
정부는 이번 달 안에 사드 발사대 4기를 모두 배치하기 위해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임시라는 말이 붙지만, 성주 기지에는 이미 발사대 2기와 레이더, 사격통제 장비 등이 배치돼있으므로 추가로 4기가 배치되면 사실상 발사대 6기로 구성된 사드 1개 포대가 완성되는 셈입니다.
이에 사드 반대 주민과 단체들은 청와대와 국방부 앞에서 반발했습니다.
국민의당 박주선 비대위원장도 정부의 “선(先) 사드 임시 배치 후(後) 환경영향평가”는 말장난일 뿐이라고 비난하기도 했습니다.
반대가 심한 곳은 국내뿐만이 아닙니다.
정부가 사드 임시 배치를 결정한 지난달 29일,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보장조리(차관보급)는 김장수 주중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초치해 사드 배치 중단과 장치 철수를 요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임시배치를 먼저 하고 환경영향평가는 그대로 진행하면서 환경영향평가가 끝나는 시점에 다시 한번 최종적인 배치 여부를 결정할 것이다.”라며 관련 사항을 중국에도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
NTD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