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발생시 행동요령, 장소따라 달라져

 

 

기상청

 

12일 한반도 역대 최대규모인 5.8의 경주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지진 발생시 행동요령’에 관심이 모아졌다.

 

국민안전처에서 발표한 이번 행동요령은 장소에 따라 다른 대처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확인된 만큼 평소 숙지할 것이 요구된다.

 

행동요령은 집안·야외·다중이용시설안(백화점·지하상가)·운전중 등으로 지진 발생시 상황을 구분했다. 

 

우선 집안에 있을 때는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머리 등 신체를 보호해야 한다. 지진 발생으로 진동이 크게 발생하는 시간은 대개 1~2분 정도. 이 사이 튼튼한 테이블 아래 들어가 다리를 꽉잡고 몸을 보호한다. 테이블이 없을 때는 이불·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다. 장식장 등 가구가 넘어져 상처를 입는 일이 없도록 주의한다. 

 

화재에도 주의해야 한다. 큰 진동이 오기 전 작은 진동을 감지했다면 가스불 등을 바로 꺼야 한다. 이후에는 테이블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했다가 진동이 멈춘 후 불을 꺼야 한다. 큰 지진이 났을 때는 소방차 출동이 늦어지거나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화재초기 대응이 중요하다.

 

또한 서둘러 밖으로 뛰어나가서는 안 된다. 진동이 완전히 멈춘 후 공터나 넓은 공원으로 대피해야 한다. 진동 중에는 유리창·간판이 떨어지거나 자동판매기·담이 넘어질 수 있다. 대피할 때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전원이 끊겨 갇힐 수 있으니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집밖에 있을 때도 마찬가지로 주의가 필요하다. 땅이 흔들려 서 있기 어려우면 주변의 뭔가를 잡으려는 심리가 작용하는데, 이때 담이나 기둥에 기댔다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생긴다. 번화가에 있을 경우에는 떨어지는 유리창·간판에 맞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건물에서 멀리 떨어지기가 어렵다면 차라리 건물 안으로 얼른 들어가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백화점·지하상가 등 인파가 몰린 곳은 큰 혼란이 발생할 수 있으니 안내자의 지시에 따라서 행동해야 한다. 만약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꽉 차게 되므로 연기를 마시지 않도록 자세를 낮추면서 대피한다.

 

전철·엘리베이터에 있을 때에는 손잡이 등을 잡아서 몸을 단단히 고정시켜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 전철이 멈췄다고 바로 밖으로 나가면 부상의 위험이 있으니 침착해야 한다. 지하철 역에서는 비상시 자동으로 비상조명이 켜지므로, 만약 컴컴할 때는 섣불리 움직여 부상을 입지 않도록 조명이 들어올 때까지 잠시 대기해야 한다.

 

자동차를 운전하고 있을 때는 지진이 발생하면 운전대가 불안정해져 제대로 운전할 수 없게 된다. 충분히 주의하면서 교차로를 피해 도로 우측에 정차한다. 구급차 등 긴급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도로 중앙을 비운다. 라디오를 통해 정보를 잘 듣고 안내에 따라야 한다.

 

이밖에 산 근처나 경사지에서는 산사태나 지반 붕괴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야 하고, 해안에서는 지진해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방송·라디오의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NTD 코리아 뉴미디어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