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희끗해져 가는 어부에게 물었다. “선장님의 어릴 적 꿈은 무엇이었습니까”
그러자 어부는 아픈 표정으로 시를 읊었다.
최근 KBS가 공식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KBS 다큐’에는 앞서 방영된 KBS ‘다큐3일 – 동해시 묵호항 72시간’ 편이 올라왔다.
강원 동해에 있는 묵호항. 이곳에는 밤부터 아침까지 작업하는 문어잡이 어선이 많다.
이날 취재진은 문어잡이로 생계를 꾸려가는 고석길 선장과 함께 문어잡이 과정을 기록했다.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0049aa5f0a6b46554087a952e2ba3f6c.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8fc1830c24986948e7a663f695b1b90f.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8a61b1558ef32b812915f530790123bc.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95eb1efac154c465797d129f4d9265ec.jpg)
자동차 안전벨트를 빼서 배에 쓰이는 안전장치를 자체적으로 개발할 정도로 문어잡이를 사랑하는 고석길 선장님.
하지만 웬일인지 이 날따라 문어가 한 마리도 잡히지 않았다.
선장님은 “오랜 기다림일수록 만남의 기쁨을 더한다지만 아직 너무 조용하다”며 “문어 얘들이 여기서 오라, 저기서 오라, 손짓을 해줘야 내가 갈 텐데…”라며 아쉬워했다.
고석길 선장님뿐만 아니라 다른 문어잡이 배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1fc167986e42cfacc35eda05e35653ae.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01ca6aa1ebf3507670e6d1679ff4e9ac.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de001f8917cbab57d1a4ab6e0b1bc965.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eff532fd6cc4a628f994dccf44872461.jpg)
문어잡이 배 한 척이 고석길 선장님의 배로 다가왔다. 해당 배에 탄 동료 어민은 “물때가 안 맞다”며 푸념했다.
고석길 선장님은 동료 어민에게 음료가 든 잔을 건네고는 “썩어가는 마음의 상처를 위하여”라고 건배사를 읊었다.
표현력이 예사롭지 않은 선장님에게 취재진은 “선장님의 어릴 적 꿈은 무엇이었어요?”하고 질문했다.
그러자 선장님은 고개를 돌려 잠시 표정을 감췄다. 그러다 어렵게 입술을 떼었다.
“왜 또 아픈 상처에 소금을 뿌리십니까… 제게도 꿈은 있었습니다. 난 있잖아요, 국문학과를 가고 싶었어요”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4d2044d46ca4eac0d0d787fdf81efd5a.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0092099df579523d99e4ceb4c19234b3.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92efc1f08b3872f25936fcd4372a0f85.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99947e597c8ef190758baa2222245d0b.jpg)
선장님은 이어 자신이 좋아하는 시를 즉석에서 낭송했다. 이형기의 ‘낙화’였다.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 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
그러더니 종이컵에 물을 따른 선장님은 다른 시를 읊었다. 조지훈의 ‘사모’ 중 한 구절이었다.
“한 잔은 떠나간 너를 위하여. 한 잔은 너와 나의 영원했던 사랑을 위하여. 한 잔은 이미 초라해진 나를 위하여. 그리고 마지막 한 잔은 미리 알고 정하신 하나님을 위하여…”
이제 막 뜨는 해를 보며, 하늘을 향해 종이컵을 들어 보이는 선장님.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2bffd7e4699b12006bc015ce2eaca5bb.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04f0206b916dbd11161aed99d23aedbc.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01391e71e7f5f121c027fd6a876f5be4.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1f1c0afa434a9887aa0fc4491c2196f2.jpg)
어린 문학청년은 어느새 머리 희끗한 어부가 됐다.
어부로서의 삶도 좋았다. 이 와중에 문어가 드디어 잡혔는데, 선장님은 “한 마리 잡았더니 뿌듯하네. 이 낙에 산다우”라며 아이처럼 기뻐하는 모습이었다.
“문어네! 아이고, 얘야. 얼굴 좀 보자. 너 그거 아냐. 내가 너를 보기 위해서 많이 인내했다는 것을”
문어를 낚는 바다 위의 시인. 그 누가 선장님에게 소싯적 꿈을 이루지 못했다고 할 수 있을까.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ba03fbc0a42a57dedea5fca62ef56af0.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45969503a7a9ab20c79a1c2b8bbaace1.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494f75880d02470466e26ba2899b2ba1.jpg)
![](https://www.ntdtv.kr/assets/uploads/2022/09/c607703fff6f4b87019cbed0431b9684.jpg)
선장님은 취재진에게 말했다.
“서울도 좋고, 도회지도 좋겠지만, 나는 여기가 참 좋습니다. 삶이 끝날 때까지 여기서 살려합니다”
선장님의 이야기를 접한 한 시청자는 말했다.
“잔을 들자. 한 잔은 여전히 시를 가슴에 품고 사는 어느 어부를 위하여…”